N = int(input())
cost_per_home = []

# 각 집마다 색깔 별 가격을 저장한다. 
for _ in range(N):
    cost_per_home.appen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
    
    dp = [cost_per_home[0]]

for i in range(1, N):
    cost_per_color = []
    
    # 맨 처음에 min값을 선택한다고 최종 값이 min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,
    # 각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저장해야한다.
    # 빨강색을 선택한다면 이전 값은 다른 색이 되어야 한다.
    # 26 + 57 + 13 이 가능한 것으로 보아, 이웃이 전부 색이 같지 않아야 된다는 뜻은
    # 빨초빨 이 경우는 가능하나 빨빨초 이런 경우만 안된다는 경우로 생각,,
    # 전자의 경우이므로 다음 집을 칠할떄, 내가 칠할 색만 제외하고 다른 경우만 고려해주면 됨.
    temp_red = min(dp[i - 1][1], dp[i - 1][2])
    cost_per_color.append(temp_red + cost_per_home[i][0])

    temp_green = min(dp[i - 1][0], dp[i - 1][2])
    cost_per_color.append(temp_green + cost_per_home[i][1])

    temp_blue = min(dp[i - 1][0], dp[i - 1][1])
    cost_per_color.append(temp_blue + cost_per_home[i][2])
    
    dp.append(cost_per_color)
    
print(min(dp[N - 1]))

'# 코딩 문제 관련 >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백준 2579번(python)  (0) 2019.08.10
백준 1932번(python)  (0) 2019.08.05
백준 9461번(python)  (0) 2019.08.01
백준 1904번(python)  (2) 2019.08.01
백준 1003번(python)  (0) 2019.07.31


T = int(input())

p_list = [0] * 101
p_list[0] = 1; p_list[1] = 1; p_list[2] = 1
p_list[3] = 2; p_list[4] = 2

for _ in range(T):
    N = int(input())

    pos = 0
    for i in range(5, N):
        p_list[i] = p_list[pos] + p_list[i - 1]
        pos += 1
    print(p_list[N - 1])

'# 코딩 문제 관련 >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백준 1932번(python)  (0) 2019.08.05
백준 1149번(python)  (0) 2019.08.05
백준 1904번(python)  (2) 2019.08.01
백준 1003번(python)  (0) 2019.07.31
백준 2748번(python)  (0) 2019.07.31


N = int(input())

dp = [0] * 1000001
dp[1] = 1
dp[2] = 2

for i in range(3, N + 1):
    # int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마지막에도 % 15746을 해줘야함
    # (x % mod + y % mod) % mod는
    # (x + y) % mod 와 다르다.
    dp[i] =  ((dp[i - 2] % 15746) + (dp[i - 1] % 15746)) % 15746

print(dp[N])

'# 코딩 문제 관련 > 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백준 1149번(python)  (0) 2019.08.05
백준 9461번(python)  (0) 2019.08.01
백준 1003번(python)  (0) 2019.07.31
백준 2748번(python)  (0) 2019.07.31
백준 카카오 코드 페스티벌 예선 15954번(python)  (0) 2019.07.30


C = int(input())
zero = [1, 0, 1]
one = [0, 1, 1]

def one_two_count(n):
    init_len = len(zero)
    if(init_len <= n):
        for i in range(init_len, n + 1):
            add_0 = zero[i - 2] + zero[i - 1]
            add_1 = one[i - 2] + one[i - 1]
            zero.append(add_0);one.append(add_1)
    print('{} {}'.format(zero[n], one[n]))
    
for _ in range(C):
    one_two_count(int(input()))


N = int(input())

def fibonach(f_1, f_2, cnt):
    f_n = f_1 + f_2

    if(cnt == 0):
        return f_n
    else:
        return fibonach(f_2, f_n, cnt - 1)
    
if(N == 0):
    print(0)
elif(N == 1):
    print(1)
else:
    print(fibonach(0, 1, N - 2))